해외 여행 짐쌀 때 절대 넣으면 안되는 것 – 음식편 총정리!!

해외여행 시 라면 가져가면 안 되는 이유!

해외여행을 준비하면서 가장 많이 챙기는 것 중 하나가 바로 라면입니다.
긴 비행기 여정, 낯선 음식에 대한 걱정, 간편한 조리 등으로 인해 라면은 여행자들에게 필수템처럼 여겨지지만 나도 모르게 챙긴 라면으로 인해 입국시 큰 낭패를 겪을 수 있습니다.

무심고 넣은 라면 때문에 공항 세관에서 압수당할 수 있다는 사실, 알고 계셨나요?

왜 라면을 가져가면 안 되는 걸까?

많은 나라에서 가축 전염병 예방, 자국의 생태계 보호, 검역 기준 등을 이유로 육가공품의 반입을 엄격히 금지하고 있습니다.

문제는 우리가 흔히 생각하는 “고기 덩어리”뿐 아니라, 육류가 소량이라도 함유된 모든 가공식품이 포함된다는 점입니다.

그럼 라면은 왜 안 되는 거지?

바로 라면 스프 속 ‘소고기 추출물’ 때문입니다.
많은 라면, 특히 쇠고기맛, 짬뽕맛, 육개장맛 등의 스프에는 소고기, 돼지고기 추출물, 건조 육류 성분이 들어가 있는데, 이 소고기 추출물이 위에 언급한 이유로 인해서 반입이 안되는 것입니다.

라면이 반입 금지 품목인 나라는 다음과 같습니다.

  • 🇺🇸 미국
  • 🇦🇺 호주
  • 🇳🇿 뉴질랜드
  • 🇯🇵 일본
  • 🇨🇦 캐나다

정확하게 확인하려면 여행하려는 국가의 세관, 농림축산검역본부 등의 공식 홈페이지에서 반입 금지 품목 정보를 확인하는 것이 가장 정확합니다.

이들 국가는 검역 기준이 매우 엄격해서, 신고 없이 육가공품을 반입하면 벌금이나 제품 압수는 물론,
입국 심사 지연까지 생길 수 있습니다.
라면이야 압수되더라도 별 문제가 없지만 이 때문에 벌금을 납부하거나 입국 시에 문제가 발생하면 여행자에게는 낭패겠죠.

신라면 패키지

특히, 가방 속에 숨겨놓아서 안 걸리거라 생각하거나
인터넷의 잘못된 정보로 ‘라면은 괜찮다’라고 여기면 안됩니다.
순수 식물 라면은 괜찮지만, 우리가 일반적으로 좋아하는 라면의 스프에는 대부분 육가공품이 들어가 있거든요.

정말 라면이 먹고 싶을 것 같다고 생각되면 현지 한인 마트를 이용하는 것을 추천합니다.
요즘은 한인마트가 워낙 잘 되어 있잖아요.

라면 이외에도 육포(특히, 조심), 소시지, 고기가 들어간 김밥, 만두, 햄이 들어간 도시락 등은 모두 고기 성분이 들어있어서 입국 시 문제가 될 수 있습니다.

우리나라의 맛있는 반찬을 가져가고 싶지만 해외여행에서만큼은 참아야 하겠습니다.
주의해야 할 음식을 정리하였습니다.

1. 고기 및 육류 가공품

  • 생고기, 햄, 소시지, 육포, 통조림 고기 등 대부분 금지
  • 구제역, 아프리카돼지열병(ASF) 같은 가축 전염병이 번지는 것을 막기 위해 각국에서 엄격히 제한합니다.
  • 일부 국가에서는 라면 스프 안의 고기 성분도 문제가 될 수 있습니다.

2. 유제품

  • 우유, 치즈, 버터, 요거트 등 대부분 반입 불가
  • 검역 규정상 세균·병원체 전파 위험이 있기 때문입니다.
  • 단, 분유는 일부 국가에서 아기와 함께 여행할 경우 허용되지만, 반드시 미개봉 상태여야 합니다.

3. 과일과 채소

  • 사과, 배, 귤, 바나나, 고구마, 감자, 옥수수 등 대부분 반입 불가
  • 병해충, 곤충, 세균이 묻어 있을 수 있어 농업 피해 방지 차원에서 금지됩니다.
  • 말린 과일, 건채소도 국가별로 제재가 다르므로 반드시 확인이 필요합니다.

4. 씨앗, 견과류, 곡물

  • 쌀, 보리, 콩, 옥수수, 해바라기씨 등은 병해충 전파 우려로 대부분 반입 금지
  • 호두, 땅콩 같은 견과류도 생 상태는 불가한 경우가 많습니다.

5. 전통 발효식품

해외여행은 즐거워야 합니다.
작은 부주의 하나로 벌금이나 조사 대상이 되면 여행 시작부터 기분이 망가질 수 있죠
라면 하나쯤 괜찮겠지? 하는 마음은 잠시 접고,
평소 접하지 못했던 현지 음식을 즐기면 좋겠습니다.

출국 전 반드시 해당 국가의 검역 규정을 확인하고, 불필요한 위험은 피하는 것이 좋습니다.

댓글 달기

이메일 주소는 공개되지 않습니다. 필수 필드는 *로 표시됩니다

위로 스크롤